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립이 아닌 생존으로 변질된 여성의 독립을 그린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

by chaechae100 2025. 7. 24.
반응형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 포스터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 포스터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는 1960년 공개된 나루세 미키오 감독의 대표작으로 전후 일본 사회 속 여성의 자립과 현실적 굴곡을 가장 정교하게 담아낸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영화는 도쿄 긴자에서 일하는 미망인 게이코의 삶을 중심으로 겉보기에는 우아하고 차분하지만 실상은 끊임없는 인내와 타협 속에서 하루하루를 버텨가는 여성을 묘사한다. 게이코는 고급 바의 마담으로 손님과의 인간관계, 돈 문제, 그리고 사회적 시선 사이에서 조용히 흔들린다. 외적으로는 세련되고 품위 있게 보이지만 그녀의 하루는 부채와 압박, 무례한 손님들의 언행, 남성 중심 사회의 이중 잣대와 끝없는 전쟁이다. 결혼한 적 있었던 과거는 오히려 현재 그녀를 얽매는 족쇄가 되며 후원자들과 손님들은 그녀를 끊임없이 재단하고 소유하려 한다. 영화는 게이코가 계단을 오르는 반복적인 장면을 통해 그녀의 내면과 일상의 무게를 시각화한다. 계단은 단순한 동선이 아니라 여성으로서 겪는 사회적 상승 욕망과 현실의 경계를 상징하며 게이코는 그 사이를 조용히 오르내린다. 그녀는 독립적인 삶을 갈망하지만 현실은 항상 그 뜻을 꺾는다. 사랑도 일도 가족도 그녀에게는 온전한 지지나 안식이 되지 못한다. 결국 게이코는 모든 시도 끝에 다시 같은 장소로 돌아온다. 영화는 그녀의 삶이 회복되는 서사를 제공하지 않으며 오히려 순환되고 반복되는 여성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나루세는 극적인 전개 대신 반복과 침묵 그리고 시선의 정체를 통해 당시 일본 사회에서 여성들이 감내해야 했던 현실적 고립을 표현한다.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는 단순한 비극의 나열이 아니라 생존을 선택한 여성의 복잡한 내면을 담아낸 작품이다.

자립이 아닌 생존으로 변질된 여성의 독립

게이코는 자립적인 여성처럼 보이지만 그녀의 하루는 타인의 시선과 돈의 논리에 갇혀 있다. 그녀가 운영하는 바는 단순한 사업체가 아니라 감정과 육체, 인내와 전략이 동반되는 감정노동의 장이다. 손님을 접대하면서도 자신을 잃지 않기 위해 게이코는 매 순간 감정을 절제하고 조심스러운 거리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거리두기는 결국 그녀를 고립시키며 감정을 나눌 수 있는 진짜 관계를 방해한다. 게이코는 사업 확장을 위해 또다시 돈을 빌려야 하고 남성 후원자들의 제안을 거절하면서도 그 관계를 끊지 못한다. 그녀의 일상은 선택의 연속이 아니라 선택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자신을 최대한 지키는 방향으로만 흐른다. 이는 당시 일본 여성들이 자립이라는 단어 뒤에서 얼마나 많은 것을 감내해야 했는지를 보여준다. 독립은 곧 외로움과 연결되고 외로움은 곧 생존의 전략으로 전화된다. 게이코가 자기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이유는 사회적 생존의 기술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영화는 그런 현실 속에서 여성의 독립이 어떻게 왜곡되는지를 고요하게 드러낸다. 게이코는 자신의 삶을 통제하려 하지만 끊임없이 주변 상황에 밀려나며 다시 원점으로 돌아온다. 그 과정은 반복적이지만 동시에 피로와 단념을 축적하며 누적되어 간다. 그녀의 표정과 몸짓은 말보다 더 많은 것을 전한다. 결국 게이코의 독립은 상징적인 것이며 실질적으로는 끊임없이 조정되는 생존의 결과물에 가깝다. 나루세는 이 현실을 냉정하게 바라보며 어떤 판단도 없이 그 복잡한 결의 얼굴을 보여준다.

이루어지지 않는 감정 안에서 멈춰버린 사랑의 구조

게이코의 삶에는 한때 진심으로 연결되었던 남자 노부히코가 있다. 그는 게이코에게 유일하게 마음을 열 수 있었던 상대였지만 감정의 시간은 사회적 조건과 역할에 의해 가로막힌다. 노부히코 역시 현실 속의 남성으로 그녀를 이해하면서도 온전히 감싸지 못한다. 그와의 관계는 서로를 향한 감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구조 속에서 기능하지 못한다. 이는 사랑이 단지 개인의 감정으로만 존재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게이코는 노부히코를 통해 감정의 안식처를 찾으려 하지만 그조차도 한계를 드러낸다. 사랑은 현실 속에서 지속 가능하지 않고 결국 그녀의 감정은 단절된 채로 남는다. 게이코는 누구에게도 기대지 않으며 감정을 내보이기보다는 감추는 쪽을 택한다. 이는 연약해서가 아니라 감정을 노출하는 순간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나루세는 이 관계를 비극적으로 끌고 가지 않는다. 오히려 평온하고 무덤덤한 장면들을 통해 사랑이라는 감정조차 일상의 벽 앞에서는 무력해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게이코는 그 사랑을 내려놓은 후에도 무너지지 않는다. 그녀는 계속해서 계단을 오르며 감정을 감춘 얼굴로 또 하루를 시작한다. 이 과정은 감정의 포기가 아니라 그것을 품은 채 살아가는 방식의 표현이다. 게이코는 로맨스의 주인공이 아니라 시대 속에서 자신을 유지해낸 존재로 그려진다. 감정은 무르익지 못하고 관계는 완성되지 않으며 그녀는 그 모든 불완전 속에서 여전히 중심에 선다.

계단 위의 시간에 쌓여버린 여성의 내력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의 가장 상징적인 장치는 바로 제목에 나오는 계단이다. 이 계단은 게이코가 일하는 공간, 이동하는 공간, 생각하는 공간이며 동시에 시간과 감정이 축적되는 장소다. 그녀는 늘 계단을 오르지만 도달하는 곳은 다르지 않다. 계단은 물리적인 경로이자 감정의 고저를 드러내는 리듬이며 게이코가 선택할 수 없는 삶을 조심스럽게 견디는 공간이다. 매번 같은 장소를 오르내리는 반복 속에서 그녀는 감정을 정리하고 또 다시 다짐하며 또 다시 단념한다. 나루세는 계단이라는 동선을 통해 게이코의 삶이 얼마나 반복적이고 고립되어 있는지를 형상화한다. 그녀는 계단을 오르면서 무너지지 않기 위해 중심을 잡고 균형을 유지한다. 발걸음은 가볍지 않고 표정은 무겁지 않지만 그녀의 움직임에는 늘 감정의 침전이 담겨 있다. 계단은 시작과 끝이 연결된 구조이며 그 안에서 게이코는 끝없는 순환을 이어간다. 영화는 이 순환을 끊지 않는다. 오히려 그 순환 속에서 인물의 내면을 응축시키며 사회 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개인의 삶 역시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이코가 다시 계단을 오르는 마지막 장면은 단념과 단련, 포기와 결심이 동시에 얽힌 복합적 장면이다. 그 어떤 대사도 없이 그녀는 움직이고 그 움직임이야말로 그녀가 살아 있다는 가장 강력한 증거가 된다. 여자가 계단을 오를 때는 이처럼 한 여성이 감당한 시간과 감정의 내력을 조용하게 그러나 단단하게 쌓아올린 영화다.

반응형